Search
Duplicate
📁

24주차 수업

24주차 수업 전 공부 진행 및 과정

23주차때 중요 질문들
AWS 3,4,5,6,7,8 챕터
프로젝트 AWS

24주차 수업 진행

23주차때 중요 질문들
AWS 3,4,5,6,7,8 챕터
프로젝트 AWS

멘토님 중요 질문.

AMI와 docker image에 대한 차이
applicaiton loadbalancer vs network loadbalancer
auto scaling group 세팅해보기
cloudwatch agent, prometheus exporter
vpc와 private subnet, public subnet
NAT 게이트웨이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lambda cold start
Ecr에 도커 이미지 올리기

24주차 멘토링 느낀점

사실 저번주부터 몸상태가 너무 안좋았다. 요즘 회사에서 다들 기침하는데 에어컨은 빵빵하게 틀고…
나만 담요를 두르고 작업하는데…결국 개도 안걸린다는 여름 감기를 걸림.
(의사 선생님이 코로나로 결과 안떴지만 요즘 감기 그냥 다 코로나라고 생각하면 된다고,,,코로나 유행 다시 시작됐다고 하셨다.. 후덜덜)
멘토링 당일에 너무 아파서 구토할거같아서 조퇴.
그리고 기침을 많이 해가지고 요일을 변경 요청했다. 그리고 이틀 뒤에 멘토링을 진행!
24주차는 AWS 위주의 질문이 많았다!
이전 시간에 한국에 있는 서버를 활용하는 게 미국에 있는 서버를 사용하는 것보다 빠른 이유에 대해서 한번 찾아보라고 말씀드렸었는데 한번 찾아보셨나요?
네트워크 홉이라고 데이터 패킷이 출발한데서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마다 중간지점에 라우터들이 있는데 각 홉마다 다음 데이터 패킷이 처리가 되면 또 다음 홉으로 이동되는데 그 네트워크 홉의 수가 길어질수록 시간이 많이 소요되가지고 국내에서는 그 홉의 수가 해외보다는 적기도 하고, 해외로 갈때는 홉의 수가 많아져서 라우터 같은 장치의 수도 많이 생기고 국내보다 데이터가 느려질 수 밖에 없다고 봤습니다. 그리고 물리적으로도 길어지면 데이터가 접속하는게 느려지기도 하고 한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가 대부분 국내 트래픽에 최적화되게 라우팅해서 서비스해주기도 하고 AWS같은 클라우드에서도 국내 리전에서 지역별로 최적화되게끔 네트워크가 운영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어서 국내 서버를 이용하는게 좋다고 봤습니다.
그러면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하다고 하면 한국에서도 서비스를 하고 미국에서 서비스를 할텐데 이때는 각각 빠른 속도를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요?
한국하고 미국하고 각각에 맞는 리전의 서버를 자동으로 연결되게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AWS 책읽다 보니까 ROUTE 관련된 서비스 챕터가 있었는데 가까운 엔드 포인트로 연결되게끔 해주는 서비스가 있어서 AWS의 ROUTE 서비스를 활용해서 연결해줄거 같습니다
이때 내가 말한게 ROUTE 53이였음..
그러면 AWS 권한 관리하는 방법으로 무엇을 사용하나요?
IAM라고 AWS에서 리소스 같은거에 대한 엑서스를 안전하게 제어해주려고 만든 서비스로 알고있고, 사용자한테 고유 보안키를 부여해가지고 사용하는거랑..그룹으로 묶어서 관리하는법도 있다고 했어요
그러면 권한 관리를 왜 해야 하는 걸까요?
사실 난 이 질문도 엄청 좋았다..대답하면서 정리가 되는 질문이였는데 혼자 공부하다보면 이런 질문에 대해서 많이 놓침..ㅋㅋㅋㅋ 매번 나도 이런거 당연히 물어볼 수 있는 질문들 아닌가 하지만 막상 놓치는게 많음ㅋㅋㅋ
S3을 활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오옴.. 확장하거나 축소하기가 쉬운거랑 ..
왜 확장 축소가 쉬운게 장점일까요?
만약에 서비스에 트래픽같은게 갑자기 증가하면은 그럴때도 같은 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면 좋으니까.. 그거에 맞춰서 자동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데..결국은 성능을 계속 유지하도록 알아서 확장해주고 축소해주고 그래요
네 성능 측면에서는 그럴 수 있죠. 그러면 로컬에 파일을 들고 있을 때 서버가 여러 대 뜨면 어떻게 될까요? 서버가 여러 개 떠 있으면 어느 서버에 요청이 들어갔는지에 따라 파일이 찾을 수도 있고 못 찾을 수도 있겠죠. 그래서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외부에 따로 관리되는 그런 파일 서버를 두는 측면도 있겠죠. 그리고 또 내부의 서버를 관리하면 이제 디스크 용량도 직접 관리를 해줘야 되잖아요. EC2에서는 EBS를 통해서 보통 파일 스토리지를 붙일 텐데 파일이 많이 쌓여서 용량이 차면 이제 그걸 계속 수동으로 관리해 줘야겠죠. 여러 가지 측면들 때문에 사용하는데 주로 파일 저장은 s3를 많이 사용합니다.
등등 더 많은 질문들을 해주셨는데 역시 좋은 질문들을 많이 해주셨다..힇힇
거진 AWS 관련 질문을 많이 진행됐었고.. 오늘 멘토링에서 너무 너무 좋은 질문들이 많이 나왔는데 다 정리하기엔 많아서 초반 질문만 정리!
그 외는 개인적으로 현재 사이드 프로젝트 관련해서 조언얻고 싶은 부분이 있어서 하나 여쪄봤다.
그리고 이제 회사 관련해서도 많이 여쪄보면서 확실히 많은 조언을 들었다.

개인적인 질문

사실 오늘 개인 질문이 제일 많았닥
aws에서 3가지 방법으로 postgresql를 사용하는데 실제 어떤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
스프링 배치 관련해서 추천 해주실 강의나 책이 있는지..
회사 지원 질문 관련

다음주까지

24주차 중요 질문 정리 및 깊게 이해하기
영한님 강의 새 로드맵 시작
사이드 프로젝트 코드 리뷰의 CI/CD 부분 해결하고 AWS에서 확인 후 그 다음에 성능테스트
매주 1 질문 할거 생각하기.